.천간 :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천간은 음양오행이 변화 과정을 거치면서 나타난 부호나 기호를 말합니다. 즉, 천체의 흐름에 따라 날짜를 표시하기 위한 부호일 수도 있습니다. 또한, 목, 화, 토, 금, 수의 오행을 음과 양으로 세분화한 것이기도 합니다.
천간 오행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목(나무) 화(불) 토(땅) 금(쇠) 수(물)
월지 계절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자 축
봄 여름 가을 겨울
甲 갑목
1 갑목의 상징
.구분 : 대림목(大林木)
.방향 : 동쪽
.계절 : 봄
.색상 : 청색으로 표시합니다.
.성질 : 직선적이고 위로 향하는 성격을 가집니다.
.숫자 : 선천수 - 3, 8
후천수 - 1, 2
.한글 : ㄱ, ㅋ
.오상 : 인 - 어질다는 뜻을 나타내며, 서울의 동대문을 흥인지문이라 합니다.
2 갑목의 물질적 측면
갑목은 양목(陽木)에 속합니다. 소나무나 전나무처럼 곁가지가 적고 높이 뻗는 나무를 상징합니다. 갑목은 대림목으로 지지의 인목과 같이 분류합니다. 대림목이란 큰 재목으로 고목이나, 목재, 원목 등을 나타냅니다.갑목은 다 자란 나무로 죽은 나무로 보기도 합니다.
갑목은 대들보나 기둥 같은 큰 재목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크고 오래된 나무라 주변을 내려다 보려는 자만심도 강합니다. 한번 쓰러지면 다시 일어나기 힘들 정도로 치명상을 입기 쉽습니다. 목조건축물이나 동량지목, 강목 등 사목도 포함됩니다.
목오행은 갑목과 을목으로 오행 중 유일한 생명체가 됩니다. 목오행의 생육에 도움이 되는 흙 : 己 기토, 辰 진토
3 갑목의 성격
장남 장녀에게 많은 오행으로 막내라도 맏이 역할을 하게 된다고 봅니다. 갑목은 연장자나 책임자 또는 우두머리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우월감이 강해 다른 사람에게 지거나 양보하는 것을 싫어하는 타입이 됩니다.
갑목은 큰 나무와 같은 성격이라 강하고, 쉽게 꺾이거나 굽히지 않습니다. 도전정신이 강하고 활동적이고 적극적입니다. 호기심과 창의성이 강합니다. 고집이 강해 한번 결정한 일은 좀처럼 물러서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갑목은 미래지향적이고 포부가 원대합니다. 갑목은 경쟁심이 강하나 뒷마무리가 약하고 유연성이 부족합니다. 세세한 일을 싫어하고, 무모한 일도 잘 벌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갑목이 솟아오르는 기운을 꺾이면 방향성을 상실하고 삶의 의욕까지 잃게 됩니다.
4 갑목의 역할
갑목이 갑목으로서 제 역할을 다할 때, 갑목의 장점과 긍점심리가 나타나게 됩니다. 갑목은 춘목과 추목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춘목 :
봄의 계절인 인, 묘, 진월에 태어난 갑목을 말합니다. 춘목은 반드시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어야 합니다.
5 갑목의 긍정적 심리
갑목은 시작을 상징하며, 우두머리 기질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다른 사람의 통제와 간섭을 꺼리고 언제나 자신이 최고이기를 바랍니다. 갑목은 언제나 당당하며 자신감이 넘치고 긍정적 사고를 지닙니다. 적극적이고 강인한 행동력을 나타내 지도자로서의 자질이 돋보입니다.
위 명조는 해월에 태어난 갑목일간 입니다. 태어난 달이 해월이라 갑목이 태동하는 시기이기는 하지만, 조후가 시급합니다. 열기를 공급해 주는 시지의 병화가 반가운 명조가 됩니다.
위 명조는 일간 갑목이 월간 계수의 생조를 받게 됩니다. 갑목은 동주 진토에 뿌리를 두고, 시지 병화 식신이 꽃을 피우는 과정으로 열심히 일하는 모습입니다. 꽃을 피운 결과 결실은 일지 진토를 통해 재물을 축적하는 좋은 명조가 됩니다.
이렇듯 갑목이 자신의 역할을 다하는 경우 긍정의 심리가 생기게 됩니다. 모든 일에서 자신감과 긍정적 사고가 생기게 됩니다. 또한 다른 사람들의 간섭을 싫어하고, 지도자의 길을 걷고 싶어지기도 합니다.
[예시 명조]
위 명조는 유월에 태어난 갑목일간의 여명사주가 됩니다. 유월의 갑목은 추목으로 꽃을 피우면 오히려 문제가 생깁니다. 추목은 유금 정관에 의해 수확되고 쓰여야 길명이 됩니다.
정관은 제도나 규율, 일정공간, 틀, 남편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일간 갑목은 일지가 비견으로 간여지동이라 부부지간에 불협화음은 다소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소신과 원칙이 분명한 편이 됩니다.
월지 정인 계수의 생조를 받으므로 의식주와 명예 등을 소중히 합니다. 일간 갑목이 정관에 의해 쓰여진다는 것은 정관의 틀 안에서 움직인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제도와 규율에 충실하고 남편의 울타리 안에서 안주하는 삶이 됩니다.
한편 정관 유금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년주 인성의 생조를 받아 식상 계수를 통해 열심히 일하고, 그 결과로 아내를 보살피는 격입니다.
6 갑목의 부정적 심리
부정적인 심리는 갑목이 갑목으로서의 본분을 다하지 못할 때 생기게 됩니다. 명조가 불안정해지면 남의 탓을 하거나, 시기 질투심이 발동하고 매사 반항적 사고를 갖게 됩니다. 갑목의 상징인 자신감을 상실하면, 조급하고 폭력적이며 변덕스러워 집니다.
겁이 많거나 게으르고 융통성이 부족해집니다. 무모한 고집을 부리는 탓에 주변의 공격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시작은 있으나 마무리가 약해 결과물이 생기지 못합니다. 갑목은 을목과 달리 실패할 경우 다시 재기하기에 힘이 듭니다.
[예시 명조]
위 명조는 신월에 태어난 갑목일간의 여명사주가 됩니다. 신월 갑목이라 추목이라 꽃을 피우거나 열매를 맺을 필요가 없습니다. 월간이 비견이고, 일지가 간여지동이라 주관성과 자존심이 대단한 명조가 됩니다.
년간과 월간이 갑경충이고, 월지와 일지가 인신충이 됩니다. 년지 진토의 생조를 받은 금오행과 목오행이 대치하는 형국이 됩니다. 결국 금오행과 목오행의 충을 해소하고 통관시키는 인성 수오행이 필요합니다. 아울러 강한 목의 기운을 설기하는 식상 화오행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수오행과 화오행은 원국에 존재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위 명조는 일간이 관살의 통제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상태가 됩니다. 또한, 꼭 필요한 육친이나 원국에 존재하지 못한 인성과 식상의 폐해도 나타나게 됩니다.
식상이 없어 생기는 현상으로는 고집이나 자존심이 강하지만 활동적이지 못하게 됩니다. 부정적 견해와 다른 사람들에 대한 이해와 배려가 부족한 명조가 되기 쉽습니다. 자연히 시기와 질투가 심해지고 모든 것을 남의 탓으로 핑계를 대기 마련입니다.
인성이 없어 생기는 현상으로는 편견이 심하고 성격상으로 모가 나기 쉽습니다. 고집이나 자존심이 강하고 부부간에도 불화나 갈등이 깊어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