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음양과 오행의 특성
1 음과 양 위 그림을 지구라고 가정을 해 봅니다. 태양이 밝게 비치는 쪽은 계절로는 여름이 되고, 하루 중에는 대낮이 됩니다. 그 다음으로 밝지만 조금 덜 강한 빛을 받는 부분은 계절로는 봄이나 가을이 되고, 하루 중에는 아침이나 저녁이 될 것입니다.
이것을 오행으로 따지면 화, 목, 금, 수가 되어 사계절을 나타내고, 하루중에는 밤과 낮이 될 것입니다. 조금 더 자세히 관찰해 보면 뜨거운 태양이 비치는 여름에도 더 뜨거운 쪽이 병화가 되고, 그 다음이 정화가 됩니다. 그 다음이 봄이나 가을에 해당하는 목기운이나 금기운이 됩니다.
목기운에서 더 강한 빛을 받는 쪽이 양목으로 갑목이 되고, 덜 강한 쪽이 음목으로 을목이 됩니다. 마찬가지로 금기운도 경금과 신금으로 음양이 나뉘어지게 됩니다. 다시 말해, 우리가 아는 오행의 음양은 양의 기운이 더 강하면 양화, 아니면 음화가 됩니다.
요약하면, 을목은 음목이고 정화는 음화이지만 근본이 양의 기운이고, 신금은 양금이고 임수는 양수이지만 근본이 음의 기운입니다. 또한, 병화는 양의 기운 가운데에서도 가장 강한 양의 기운이고, 계수는 음의 기운 가운데에서도 가장 음의 기운이 강한 음 중의 음인 기운입니다.
이렇듯, 오행의 음양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완전한 양이나 완전한 음은 존재하지 않게 됩니다. 음양의 기운에서 양은 상대적으로 밝고, 강하고 큰 개념으로 나타나게 되고, 음은 어둡고, 부드러우며 약하고 작은 개념으로 나타나게 합니다.
2 오행 삼라만상의 근본인 음양은 목, 화, 토, 금, 수의 5가지 오행으로 나누어지게 됩니다. 물론, 그 5가지 오행도 각기 독립된 기운이 아니라, 상호간에 상대적인 개념으로 보셔야 합니다. 그 5가지 오행은 상호간에 상생작용과 상극작용을 하면서 우주의 균형을 이룬다고 보는 것입니다.
[오행의 상생과 상극작용] 먼저 초록색 화살표부터 살펴봅니다. 목은 화를 생하고 (나무는 자신을 태워 불을 살립니다.) 화는 토를 생하며 (불은 땅에 온기와 거름을 제공합니다.) 토는 금을 생하고 (땅에서 쇠가 생산 됩니다.) 금은 수를 생하며 (쇠는 물에 영양을 공급합니다.) 수는 목을 생합니다 (물은 나무에 물을 공급하게 됩니다.)
이번에는 상극작용을 알아봅니다. 목은 토를 극하고 (나무는 땅의 양분을 빼앗아 땅을 황폐하게 합니다.) 토는 수를 극하며 (흙은 물의 길을 막고, 물을 오염시킵니다.) 수는 화를 극하며 (물은 불을 꺼트리게 됩니다.) 화는 금을 극하고 (불은 쇠를 녹여 없앱니다.) 금은 목을 극합니다.(쇠는 나무를 잘라 죽게 만듭니다.)
참고로 여기서 생한다는 것은 자신을 희생하여 상대를 위해 도움을 주는 것을 말하고, 극한다는 것은 상대가 가진 것을 빼앗아 자기 것으로 취한다는 것과 유사하게 볼 수 있습니다.
[지지의 작용] 천간이 오행의 작용을 하는 데 비해 지지는 사계절의 운동을 합니다. 천간의 오행 운동을 지지와 대비 시키면 아래 도표와 같습니다.
천간의 오행은 지지의 오행으로 각각 대비시킬 수 있게 됩니다.
천간 갑목은 지지의 인목, 을목은 묘목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천간 병화는 지지의 사화, 정화는 오화에 대비됩니다. 천간 경금은 지지의 신금, 신금은 지지의 유금에 대비되고, 천간 임수는 지지의 해수, 게수는 지지의 자수에 부응합니다. 또한, 천간의 무토는 지지의 진토, 술토와 유사하고, 기토는 미토, 축토에 비유됩니다.
지지는 땅의 기운이라 4계절 운동을 하게 되어, 목은 봄, 화는 여름, 금은 가을, 수는 겨울이 됩니다. 물론, 토의 기운인 진, 미, 술, 축은 각 계절의 환절기 역할을 합니다.
[학습요점] 천간의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의 10자와 지지인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의 12자는 순서대로 반드시 외우셔야 합니다.
상생작용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
상극작용 목극토, 토극수, 수극화, 화극금, 금극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