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명리학
플러스명리학[가입] 로그인 / 회원가입   검색     


만세력
플러스만세력
운세력
플러스운세력
오늘운세
오늘의운세
단식운세
단식운세
일주운세
일주운세
월운세
일주월운세
띠운세
월운띠운세
생일변환
생일간지변환
행운번호
행운숫자찾기
명리학
명리학탐구
당사주
플러스당사주
토정비결
플러스토정비결
매화역수
매화역수
구성학
플러스구성력
부부궁합
플러스부부궁합
일주궁합
플러스일주궁합
동업궁합
플러스동업궁합
띠궁합
플러스띠궁합
한자사전
플러스한자사전
좋은이름
좋은이름찾기
이름짓기
플러스작명
이름풀이
플러스감명
아호짓기
플러스아호
취기일
취기일
구성달력
구성달력
손없는날
손없는날달력
이사택일1
플이사택일1
이사택일2
이사택일2
띠별방위
띠별이사방향
두침방향
띠별두침공부방향
출산택일
출산택일
입태택일
입태택일
명리조견표
명리학조견표
타로
플러스타로
손금보기
플러스손금
관상보기
플러스관상
풍수지리
플러스풍수
명리사전
명리학사전
자미두수
플러스자미두수
포인트
포인트확인
유튜브
유튜브_사주플러스채널
아이티
아이티모아


  
명리학탐구(중급2)
 

223.육친론(4) - 처가와 시가의 육친
2020-04-04 23:10:02 댓글:(27)   조회:834
 

 
223.육친론 - 처가와 시가의 육친 


1.장인과 장모
처가와 시가의 육친은 광의의 육친에 해당합니다. 
아내의 명조에서는 성장기인 연월주의 편재는 부친으로 보고, 결혼 이후를 의미하는 일주와 시주의 편재는 시모의 의미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처가에 관한 면은 아내의 명조에서 우선적으로 살펴야 합니다. 그러나, 여기서는 남명의 사주에서 처가의 육친을 살피는 방법을 알아 봅니다.

위 명조는 유월에 태어난 식신격 남명사주입니다. 이 명조에서 처가쪽의 어른인 장인과 장모를 찾아 보기로 합니다. 처가쪽의 연결은 기본적으로 아내를 찾아, 아내인 재성을 기준으로 아내를 생하는 인성은 장모가 되고, 장모를 극하는 오행은 장인이 됩니다.

무토일간의 아내는 정재인 일지 자수입니다. 일지 자수를 금생수로 생하는 신금은 자수 아내의 모친으로, 무토일간의 장모입니다. 장모인 월지 신금과 동주하면서 화극금으로 신금을 극하는 월간의 병화는 장모인 신금의 남편으로 장인이 됩니다.

이 명조에서 일간 무토는 장인인 월간 병화가 화생토로 직접 생조를 하고, 아내인 일지 자수는 장모인 월지 신금이 금생수로 도움을 줍니다. 이렇듯, 장인과 장모가 바로 옆에서 도움을 주는 사주는 처가살이의 명조로 봅니다.

물론, 장인과 장모의 도움으로 일간 무토는 토생금으로 시주를 향하게 되어, 사업이나 자영업을 할 수도 있는 명조가 될 수 있습니다. 단, 원국에 관성이 존재하지 않아, 체면이나 도덕같은 부분은 다소 결여될 수 있습니다. 사업을 하더라도 위법한 일을 벌이기도 쉬운 명조입니다.


2.시부모와 시모
시부모에 관한 여러가지 면은, 시부모 본인의 명조를 우선적으로 살펴야 합니다. 부부간에도 아내보다는 남편의 명조에서 나타나는 편재와 인성이, 시부모에 관한 자료로는 좀 더 정확합니다. 그러나, 여기서는 여자의 명에서 시부와 시모를 찾아보는 방법을 알아 봅니다.



위 명조는 묘월에 태어난 무토일간의 여명사주입니다. 무토여성의 남편은 월주의 을묘입니다. 월간 을목은 앉은자리 통근을 하여 힘이 있습니다. 월주 남편의 입장에서 보면 목생화로  열심히 일하고, 화생토로 그 결실은 아내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성실한 남편입니다. 

일간 무토와 을목 남편은 서로 향하고 있어, 인연이 깊고 음양이 달라 정도 있습니다. 남편이 남편의 역할을 다하는 명조라 부부간에 인연과 정, 남편덕이 큰 명조가 됩니다. 이 명조에서 일간 무토의 시모와 시부를 찾아 보기로 합니다.

시가쪽의 육친관계는 남편이 기준이 됩니다. 을목 남편을 수생목으로 생조하는 연지 자수가 시모가 되고, 시모와 동주하면서 토극수로 시모를 극하는 무토가 시부가 됩니다. 이 명조의 경우 을유남편과 시모인 연지 자수가 자묘형이 됩니다. 이런 경우 무토일간의 여성은 시부모와 함께 기거하지 않고, 독립하여 생활하는 명조로 봅니다.

 
3.처가와 시가의 육친 활용
이 부분은 미혼인 남녀가 장차 자신과 함께 부부의 인연을 이어갈 남편이나 아내의 환경을 어느 정도 미리 가늠해 볼 수 있는 잣대가 될 수도 있습니다. 자신의 명조에 나타난 남편이나 아내를 미리 확인해 보고, 좀 더 나은 환경의 배필을 만날 수 있는 방안도 연구해 볼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사주팔자대로 살아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사주팔자에 나타난 것이 자신이 바라는 것이면 좀 더 적극적으로 그러한 쪽으로 임하고, 자신이 원하는 방향이 아니면 시기적으로 조정해 가면서 피해나가면 됩니다.

위 두가지의 예제에서 첫번째 남명사주에서 처가쪽을 살피는 예제는 아내가 일지에 위치한 경우라, 결혼적령기에 결혼한 경우로 보면 되고, 두번째 에제에서는 남편이 월주에 속하는 경우라, 다소 이른 결혼시기로 봅니다. 

만약, 연주에 재성이나 관성이 있는 경우는, 다소 어린 나이에 결혼하는 경우도 가능합니다. 이렇듯 명조에서 나타난 배우자의 육친관계나 운에서 오는 관성이나 재성으로 시기를 조절하면, 좀 더 나은 이상형을 찾을 수도 있게 됩니다.

. 



[복채를 내지 않으면 복이 달아납니다]

사주플러스는 사람의 운명을 연구하는 철학 사이트 입니다..
이용하시는 분들은 자신을 위해서라도 복채를 지불하셔야 합니다..
사이트의 홍보나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유용한 글 등
복채론1,   복채론2
사이트 발전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어떤 방법도 좋습니다.
사이트 이용이 도움이 되었다면 자신의 그릇 크기에 따라
자신이 생각한 방법으로 적절한 댓가를 지불하시기 바랍니다.
[다음글]  224.육친론(5) - 육친으로 살펴보는 사위와 며느리
[이전글]  222.육친론(3) - 극관계의 육친인 편관과 정관



댓글
 댓글 (27)


  •   김구정   2024-07-03 14:53:39
    제 주변에 기묘일주 중에 고부갈등 심한 지인 있는데 사주랑 딱 이더라구요..
    궁금해서 공부해봅니다 귀한자료 감사합니다 잘 읽고갑니다 ...  

  •   밍키맨   2023-11-15 19:54:45
    곤명에 있어서 친정과 시가의 구분은 매우 중요한 사항중의 하나인 것 같습니다.다른 책에 의하면 재성은 시가 인성은 친정으로 구분하여 두 세력과의 관계로 시가와 친정의 친소관계라든지 역학관계 등을 구분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재성이 많거나 세력이 강하면 시집살이를 하는 팔자이며, 인성이 많거나 강하면 친정쪽 힘이 쎄서 시가쪽에도 큰소리 치면서 산다고 하는데 맞는것인지 틀린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또한 곤명의 재다신약인 경우는 재성이 강해 시집살이를 할 수 있으니 결혼하기전에 분가를 권유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결혼해서는 시가하고는 멀리떨어져 있어야 한다고 하는데 그 말의 진위는 확인하기는 어렵습니다만 그런 식으로 사주를 분석하는 경우도 본 경험이 있어 댓글남깁니다.감사합니다.  

  •   인명재천   2023-11-03 18:44:05
    네 그렇군요.. 연주나 월주에서 만난 부인이나 아내가 별로라면 늦게 결혼하는게 좋을 수 잇겠군요.. 그런데 그게 마음대로 되질 않는다는게 문제죠. 대부분이 그때가 되면 제짝을 찾아 결혼하기 마련이죠... 그래서 가끔 주위에 보면 너는 늦게 결혼해야 잘 산다고 하던데 그런데 늦게라는 기준이 언제인가요? 35세 40세 정하는 기준이 잇나요.. 정확한 이론이 있나요 갑자기 궁금해지네요.  

  •   행복천사   2022-11-03 10:33:01
    시모와 남편이 형이면 같이 살지 않고 독립하여 살아간다는 것을 배우고 갑니다.  

  •   에이프릴   2022-07-31 21:07:54
    저는 일지에 편재를 깔고 앉아있습니다 ...아....ㅠㅠ
    더 이상 말하고싶진 않지만 .. ^^ 그래도 제 운명이려니 합니다.  


  •   스파르탄   2021-12-30 08:11:55
    위에 보여준 사주에서는 배우자나 배우자의 부모의 십성이 다 나와 이해하기가 쉬우나 이런게 위치상으로 난해하고 잘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을텐데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궁금합니다  

  •   대양1234   2021-12-01 01:32:24
    사주원국을 보고 처가의 장모와 장인을 알수 있다니 명리학은 참 신비롭습니다. 너무 흥미로워 명리학 공부를 하고 싶게 만듭니다.  

  •   자가진단   2020-07-03 13:26:24
    제 사주에서도 시부모와 시어미니까지도 볼수 있다는것 까지 처음 알았습니다. 참으로 신기합니다. 감사합니다. 제 사주도 확인 해봐야겠네요~  

  •   그러니   2020-04-14 21:18:29
    새로운 공부 내용 잘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닷  

  •   gmbna0   2020-04-13 13:17:36
    감사합니다 마침 궁금하던 내용 읽고 잘 배우고 가겠습니다 어렵지만 잘 배워볼게요~  

  •   g2h0sa   2020-04-12 14:51:18
    감사합니다. 무관, 무재는 어떻게 해석 해야 할지도 궁금하네요.  


  •   공태강   2020-04-11 07:09:02
    해당 기준으로 생하고 극하는 관계를 적용하는 것이었군요.  

  •   환영도사   2020-04-08 16:21:38
    아...깔끔한정리 잘보구갑니다~~  

  •   연두사과1   2020-04-08 00:45:22
    알찬내용 감사합니다 어렵지만 반복하며 배우고 있습니다  

  •   상수리   2020-04-07 20:46:49
    재미있게 보았읍니다 ᆢ이렇게 처가와도 관계가 연결됐다는 것이 참 흥미롭네요ᆢ  

  •   장연   2020-04-07 15:51:47
    잘 읽었습니다.근데 전..아쉽게도..사주원국에 재성이 없다보니..ㅠㅠ
    찾기 어렵네요..공식과도 같은 풀이가 전 늘 숙제 같아요..오늘도 열심히 쫒아봅니다.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  

  •   gcgutj   2020-04-07 15:43:33
    네~ 정보를 읽을때는 어렵지만 노트에 써서 내 사주와 친구 사주를 비교하면서 보면 이해가 빠르게 되네요^^
    재밌어요~ 정보 감사합니다^^  


  •   원더우먼   2020-04-07 11:04:55
    신비로운것이 명리인듯 합니다
    오행의 생과극으로 그리고 십성관계로 육친을 유추할 수있다는것이 대단스럽스럽습니다.열심히 복습하고 공부해서 잘 습득하도록 하겠습니다 자세한설명과 포스팅 감사합니다  

  •   자스민   2020-04-06 23:03:54
    이렇게 처가 시가까지 나온다는 것이 신기합니다. 여덟글자안에 참으로 많은 것들이 담겨있네요 그런데 진짜 과연 그러할까 하는 의문을 드문드문 품어봅니다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   연두사과1   2020-04-06 19:27:55
    오늘도 잘 배워갑니다 내용이 어려워 반복하고 또 반복하고 있어요 ^^  

  •   소라   2020-04-06 19:25:42
    일지에 배우자가있으면 결혼적령기에 하는군요
    저도 일지에 관이있는데 왜아직도 못하고있을까요ㅜㅜ  

  •   오드리69   2020-04-06 17:39:10
    자세한 설명 잘 보았습니다.
    경우의 수에 따라 해석이 달라지니 어렵네요.
    잘 배웠습니다.  

  •   쥬즁   2020-04-06 11:21:27
    잘 확인해 보았ㅅ브니다 감사합니다 ㅠㅠ  


  •   뜻대로   2020-04-06 09:30:00
    잘보고갑니다. 공부가 갈수록 어렵습니다. ㅜ  

  •   크래커   2020-04-05 20:35:15
    남명에서는 식상이 장모 인성이 장인이 되고 여명에서는 재성이 시모 비겁이 시부가 된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습니다. 처가와 육친을 활용하여 혼인 시점을 잡아보라는 말씀도 생각해 봄직 한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연두사과1   2020-04-05 20:33:02
    오늘도 잘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   호사   2020-04-05 01:32:32
    사주 원국을 보고 결혼 적정시기를 가늠하여 최상의 시기에
    결혼하고 육친의 관계 설정에 현명하게 대처하여 삶을
    영유하는 사주팔자의 공부가 최고라는 학습 잘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
  
명리학탐구(중급2)
페이지: 1 / 5   

 201.질병론(1) - 건강과 사주팔자
댓글:(73) 열람:4330   2020.03.10


 202.질병론(2) - 오행에 해당하는 오장의 역할과 질병
댓글:(42) 열람:1750   2020.03.11


 203.질병론(3) - 오행에 해당하는 육부의 역할과 질병
댓글:(20) 열람:1386   2020.03.12


 204.질병론(4) - 흉신이 유통되지 못해 병이 되는 경우
댓글:(43) 열람:2519   2020.03.13


 205.질병론(5) - 행운의 충극으로 병이 오는 경우
댓글:(24) 열람:2775   2020.03.29


 206.질병론(6) - 오행의 태과와 불급으로 인한 질병
댓글:(25) 열람:2087   2020.03.29


 207.질병론(7) - 무병장수의 사주와 편중된 사주
댓글:(16) 열람:1826   2020.03.30


 208.질병론(8) - 사주팔자와 질병에 따른 운동과 환경개선
댓글:(21) 열람:1291   2020.03.30


 209.질병론(9) - 사상체질의 구분과 식단 조절
댓글:(12) 열람:1168   2020.03.30


 210.질병론(10) - 목오행, 화오행에 따른 음식과 색상 그리고 방향
댓글:(25) 열람:3493   2020.03.30



[1]  [2]  [3]  [4]  [5]  



[복채를 내지 않으면 복이 달아납니다]

사주플러스는 사람의 운명을 연구하는 철학 사이트 입니다..
이용하시는 분들은 자신을 위해서라도 복채를 지불하셔야 합니다..
사이트의 홍보나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유용한 글 등
복채론1,   복채론2
사이트 발전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어떤 방법도 좋습니다.
사이트 이용이 도움이 되었다면 자신의 그릇 크기에 따라
자신이 생각한 방법으로 적절한 댓가를 지불하시기 바랍니다.
복수단어 검색은 공백(space)로 구분해 주세요.




공지사항 [손님]

질문답변마당 [손님]


최근 글 [손님]

인기 글 [손님]

사주풀이마당[손님]

궁합풀이마당[손님]

유명인사주풀이[손님]



최근 댓글[손님]
[g403] 사주원국.. 분석은.. 따로 하지 않구요... 아직 어리잖아요... 근데.. 그래도.. 작게.. 보면... 굳이 보이는데.. 월주.. 신유.. 정인격인거.. 보통 격국으로 잘 안보는데.. 맞을때도 있고.. 안 맞을때가.. 더 많아서...이지요... 근데.. 직업을 가늠할때.. 격국으로.. 보기도 합니다... 천간의 동태를 보면.... 월간.. 신금을.. 두고..(유 중 신금이.. 천간에 올랐으니..) 일간 임수와.. 월간 신금의 관계... 그리고.. 연간.. 계수(겁재)의 관계...까지.. 보면... 임수가 주도하면서.. 시간.. 정화(정재)와.. 정임합하지요.. 즉, 월간 신금이.. 주도 되는게.. 아니고.. 일간 임수가 주도되면서.. 가는 길이.. 시간 정화(정재)이니... 일간 임수가.. 자격을 갖추어.. 주도해서.. 정화(정재)로 가는거다.. 정도..로 보고... 일간이.. 임진... 괴강이지요... 그러면서.. 월지와.. 진유합을 하고 있고... 유금은.. 동작하나... 진토가.. 아직.. 동작 전이지요... 그냥.. 스위치만 있는걸로.. 보고... 지지의 동태는.. 관을 깔고 있으나, 천간으로.. 관이 나와 있지 않으면서... 진미.. 진유.. 사유.. 이지요... 이걸.. 설명하면.. 너무.. 길어서... 진유합은... 시골(진토)과.. 도시(유금)의 개념으로.. 뭔가.. 맞지 않는거지요... 쉽게는... 변덕이 있다로.. 봐도 되고... 암튼... 예시로...본인이 원하는것과.. 부모가 원하는것이.. 맞지 않을수도 있고... 본인이 편관으로.. 직업을 가진다면... 유금을.. 다루기가.. 힘들다..로도.. 볼수 있고... 이건.. 그냥.. 이해안되셔도.. 되요... 지금 대운이.. 임술대운... 다음대운이.. 계해대운이지요... 대학을 진학할.. 시기를 보면... 경술년, 신해년, 임자년... 즈음이겠지요... 그리고.. 대학을 졸업할 시기를 보면... 갑인, 을묘, 병진년이지요... 대학을 진학하는 시기.. 대학을 졸업하는 시기에.. 사주원국이 가진.. 내재되어 있는 것중... 어떤 것이 나오는지를 보면... 대학 진학 = 자격을 갖추는 것(자동 직업으로 연결되는 것) = 졸업 후 그 자격을 즉시 쓰는 것(직업이 되는 것) = 그 자격이 쉽게 싫증나는것 = 그 자격이.. 아주 디테일한 것.. = 편관이지만 정감 있어야 하는 것 진 중.. 을목(상관)이.. 천간에.. 오를 시기...를 잘 헤어려 보시면.. 되겠네요... 사주원국은.. 어떤 식으로든.. 나오게 되어 있어요... 아무리.. 끌고 간다해도.. 안나올건 안나오구요.. 그냥.. 둬도.. 알아서.. 찾아가지요...

생활의지혜 [손님]

세상사는이야기 [손님]

자유마당 [손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