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명리학
플러스명리학[가입] 로그인 / 회원가입   검색     


만세력
플러스만세력
운세력
플러스운세력
오늘운세
오늘의운세
단식운세
단식운세
일주운세
일주운세
월운세
일주월운세
띠운세
월운띠운세
생일변환
생일간지변환
행운번호
행운숫자찾기
명리학
명리학탐구
당사주
플러스당사주
토정비결
플러스토정비결
매화역수
매화역수
구성학
플러스구성력
부부궁합
플러스부부궁합
일주궁합
플러스일주궁합
동업궁합
플러스동업궁합
띠궁합
플러스띠궁합
한자사전
플러스한자사전
좋은이름
좋은이름찾기
이름짓기
플러스작명
이름풀이
플러스감명
아호짓기
플러스아호
취기일
취기일
구성달력
구성달력
손없는날
손없는날달력
이사택일1
플이사택일1
이사택일2
이사택일2
띠별방위
띠별이사방향
두침방향
띠별두침공부방향
출산택일
출산택일
입태택일
입태택일
명리조견표
명리학조견표
타로
플러스타로
손금보기
플러스손금
관상보기
플러스관상
풍수지리
플러스풍수
명리사전
명리학사전
자미두수
플러스자미두수
포인트
포인트확인
유튜브
유튜브_사주플러스채널
아이티
아이티모아


  
명리학탐구(고급1)
 

304.합과 충의 의미 분석
2020-05-20 20:48:31 댓글:(25)   조회:3508
 

 
304.합과 충의 의미 분석


1.합과 합화
합은 기본적으로 합화를 전제로 하는 이론입니다. 그렇다고 모든 합이 합화가 되지는 않습니다, 앉은자리 통근을 한 오행은 주관이 뚜렷하고 소신이 있는 것으로, 반대되는 기운과 합을 하더라도 다른 오행으로 변하지는 않습니다.

위 명조는 계수일간의 남명사주로, 연간의 병화와 월간의 신금이 병신합을 이루고 있습니다. 연간의 병화는 앉은자리 인목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뿌리가 있다는 것은 주관이 뚜렷한 경우로, 소신이 강한 병화가 자신과 반대 기운인 신금과 합을 하여 물로 변하지는 않습니다.

즉, 연간의 병화는 월간의 신금과 병신합을 이루지만, 합화가 되지는 않습니다. 여기서, 연간의 병화는 계수일간의 부친이 되고, 월간의 신금은 모친입니다. 연간, 월간은 병신합을 이루게 되어 부친과 모친이 다정한 사이라고 판단을 합니다.

아울러, 부친과 모친이 다정한 가운데 본연의 역할을 다하는 명조라, 부친덕, 모친덕이 크고, 십성으로는 재성과 인성이 역할을 다하는 경우로, 초년 재물복이 크고 학업의 성취도도 높고, 의식주도 안정된 좋은 명조가 됩니다.

참고로, 합을 하는 두 오행중에 어느 한쪽이라도 통근을 하게 되면, 합화는 이루어 지지 않습니다. 다만, 자축합토 처럼 합화로 인해 생성되는 오행이 기존의 한쪽 오행과 같은 오행으로 바뀌는 경우는, 생성되는 쪽과 같은 오행은 통근을 해도 무관합니다.



계수일간의 남명사주에 연간과 월간이 역시 병신합을 이루는 구조입니다. 그러나, 앞의 경우와는 다르게  연간의 병화는 앉은자리 계수라 통근을 하지 못한 상태이고, 월간의 계수도 지지가 해수라 신금입장에서 상관으로, 역시 통근을 하지 못한 경우입니다.

이렇듯 앉은자리 통근을 하지 못해 미약한 병화와 신금이 합을 하게 되면, 합화로 인해 수오행으로 변하게 됩니다. 게수일간의 입장에서 연간의 병화는 정재로 부친이 되고, 월간의 신금은 편인으로 모친이 됩니다. 부친과 모친이 합을 하여 수오행인 비겁으로 바뀌는 경우가 됩니다.

부친과 모친이 부모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라, 부친덕이나 모친덕이 없는 명조로 바뀝니다. 십성으로는 재성과 인성이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라, 초년의 재물과 인연이 없고, 성장기에 학업에도 정진하지 못하는 명조가 됩니다.


2.충의 형태와 해석
충은 두 기운이 부딪혀 깨어지는 상태라, 불안정한 기운으로 봅니다. 그러나, 충은 극하는 기운이 윗자리에 있을 때가 온전한 충이 되고, 반대로 극하는 기운이 아랫자리에 위치하는 경우는 충이라기 보다는 윗자리의 기운을 능가하거나 극복하려는 기운으로 봅니다.


월간의 경금은 갑목 여성의 남편으로, 남편인 경금으로 부터 상당한 압박을 받는 경우가 됩니다. 성장기이면 부친궁이라, 엄한 부친으로 부터 스트레스가 큰 경우가 됩니다. 이 경우, 월간의 경금은 칠살로 작용하게 되어 대단히 흉한 명조가 됩니다. 

만약, 일지에 수기운이 있다면, 월간의 경금이 일간을 극하기 보다는 금생수 -> 수생목으로 월간의 남편 경금은 열심히 일하고, 그 결실을 일간 갑목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좋은 명조가 됩니다. 물론, 이 경우 월간 경금과 일간 갑목의 갑경충의 관계는 대부분 해소된 것으로 봅니다. 




월간의 갑목과 일간 경금은 갑경충의 관계이지만, 이 경우는 온전한 충이라기 보다는, 일간 경금이 남편인 월간의 갑목, 성장기라면 부친인 월간의 갑목을 극복하거나 뛰어 넘고 싶은 기운으로 봅니다.


위 명조는 해월에 태어난 기토일간의 남명사주입니다. 해월의 기토라 추위를 막아줄 불기운이 시급한 명조이나, 일지에 사화가 오게 되면 바로 사해충이 됩니다. 이 경우 월간에 을목이 온다면, 월지 해수는 월간의 을목을 수생목으로 먼저 생조하는 관계로, 사해충이 대부분 해소됩니다.

그러나, 월간에 계수가 오면 월지 사화는 굉장한 힘을 나타내게 되고, 그 힘이 바로 일지 사화와 사해충을 이룹니다. 월주의 재성은 육친으로는 부친이 되고, 일지 사화는 모친입니다. 부친과 모친이 충으로 꺠어지는 관계라, 당연히 부모덕이 박한 명조가 됩니다. 

또한, 재성과 인성이 충을 하게 되어, 초년의 재물복이 박하고 의식주의 곤란도 심한 명조로, 초년부터 주거의 이동 변동도 잦게 됩니다. 아울러 결혼을 하게 되면 월지 정재는 일간 기토의 아내일 수도 있어, 고부간의 갈등도 큰 명조로, 항시 가정이 불안하게 됩니다.  
  🔊   ⏸️


. 



[복채를 내지 않으면 복이 달아납니다]

사주플러스는 사람의 운명을 연구하는 철학 사이트 입니다..
이용하시는 분들은 자신을 위해서라도 복채를 지불하셔야 합니다..
사이트의 홍보나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유용한 글 등
복채론1,   복채론2
사이트 발전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어떤 방법도 좋습니다.
사이트 이용이 도움이 되었다면 자신의 그릇 크기에 따라
자신이 생각한 방법으로 적절한 댓가를 지불하시기 바랍니다.
[다음글]  305.격국용신 - 격국의 이해와 용신의 역할
[이전글]  303.오행통변(2) - 오행의 의무와 역할(화오행, 토오행, 수오행)



댓글
 댓글 (25)


  •   태드래곤   2025-04-19 03:37:21
    밑에있는 안좋은 예시가 딱 저네요...기토 일월지 사해충 ㅜ ㅜ
    부모님이혼
    근데 저희형 사주는 충이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모양이고 형은 잘사는걸까요  

  •   gahchl   2024-02-05 23:49:50
    좋은 정보 항상 감사합니다. 생조와 해소는 몰랐던 부분인데 또 배워가네요.. 합과 충에 대해서 너무 간단하게 생각했던것 같습니다. 알고있던 부분보다 훨씬 심오했네요. 오늘 보고 또 하나 알아갑니다.  

  •   인명재천   2023-12-08 12:41:54
    조금 고급 스킬이네요... 합과 합화의 개념- 통근을 하느냐 안하느냐에 따라 합만 하느냐 아니면 합화까지 되느냐가 되는 군요. 천간은 갑기합화토, 을경합화금, 병신합화수, 정임합화목, 무계합화화- 통근이 안되면 이렇게 합화로 해서 다른 오행으로 변하기도 하고 자기 오행을 가지기고 하네요. 갑기토의 경우는 기가 원래 토이고, 을경금에서 경도 원래 금이네요. 지지에서 자축합화토, 인해합화목, 묘술합화화, 진유합화금, 사신합화수, 오미합화화 - 그 중에서 자축토는 원래 축이 토이고, 인해목에서 인도 원래 목이고, 진유금에서 유도 원래 금, 오미화에서 오가 원래 화==> 통근을 해도 원래 오행이 있는 경우는 합화한다는 의미네요. 천간에 두개 지지에 네개네요. 자축합토에서 축토가 통근한 경우이고 자수는 해당이 안되는거죠?/ 그리고 인해합목에서 인이 통근한 경우 목으로 되는거고 해가 통근한 경우는 안되는거, 진유합금에서 유금이 통근한건 되고 진이 통근한 경우는 안되는거, 오미합화에서 오화가 통근한건 되고 미가 통근한건 안되는거죠?//맞나 모르겠네요.. 뒤로 가면 나오겠죠... 합만하느냐 아니면 합화를 이루는냐에 따라 해석이 확연이 달라질수 있으니... 확실히 알아야겠네요.
    위의 예에서 신강한 계수 입장에서 정재와 편인으로 부모의 역활을 하는데 합하여 수로 변하여 비겁이 되니 계수 일간 입장에서는 길보다는 흉으로 변한 경우다. 합을 하지 않고 그대로 있었으면 더 좋을텐데.. 이렇듯 합이 되냐 아니면 합화가 되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 합화가 나쁘다는게 아니고 위의 경우가 그런 예라는 것일것이다. 오히려 합화하여 흉이 길이 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충의 경우-천간 충 - 갑경충 을신충 병임충 정계충 - 금목 수화의 충 - 위치에 따라서도 충의 의미로 다르게 해석하는 군요.. 금극목 수극화의 개념에서 상에서 하로 극하느냐 상에서 하의 극을 당하느냐에 따라 다르군요.. 갑경과 경갑의 차이.. 을신과 신을의 차이/ 병임과 임병의 차이 정계와 계정의 차이.. 그렇군요.. 경갑 신을(금극목)/임병 계정(수극화) 윗자리의 기운을 능가하거나 극복하려는 의지를 나타내는 군요..
    지지충- 자오충, 축미충, 인신충, 묘유충, 진술충, 사해충.. 자오묘유 인신사해 진술축미.. 충보다는 생의 의미를 먼저 찾아서 통관의 의미를 봐서 해석해야 되는군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역시 고급과정이군요..  

  •   밍키맨   2023-11-19 16:23:48
    합과 합화의 관계는 합은 단순한 기운만 있는 것이고 합화는 완전히 십성이 변화하는 것인데 합에서 합화가 되기위해서는 합을 하는 천간의 오행이 앉은자리 통근을 하지 못해야만 가능하고 합화가 되면 십성이 변화되므로 통변을 할때 주의하여야 한다.충의 경우는 극을 하는 오행이 윗자리에 있어야 충의 개념이고 아랫자리에 있으면 윗자리에 있는 오행을 극복하거나 뛰어넘고자 하는 기운으로 봐야 한다는 내용 공부하고 합니다.감사합니다.  

  •   음잘하자   2023-05-14 15:32:24
    내용을 보았는데 기초 암기가 되어 있지 않아 이해도 안되고 혼란하네요 더 엘심히 암기하고 시가 투자를 더 해야겠습니다
    감사하니다  


  •   이당   2023-03-04 15:32:04
    * 사주정보 잘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언니5280   2022-12-18 16:06:05
    알고싶은 부분인데 초보라 아직 이해가 안되네요 열심히 보다보면 언젠가 이해하겠죠~^^ 좋은글 감사합니다~^^  

  •   스파르탄   2022-06-09 01:33:07
    궁위에 따라 강한 충으로 작용하거나, 윗 궁위를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로 해석한다는 걸 배웠습니다. 또한 지지 충에 의해 고부간의 갈등을 십성으로 풀어내는 것도 좋은 예인것 같습니다. 다만 마지막 예시에서 배우자 궁인 일지가 정인이고 배우자 성인 정재가 월지일 경우 무엇을 처로 보아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물론 그 주위 환경이나 간담자의 예에 의해 달라지리라 생각되지만 좀 더 많은 공부가 필요하네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   떠은   2022-01-28 04:28:48
    매번보구 또 봐두 어렵긴하네요
    그래도 예시들어서 써주시니 많은도움이 되는거 같아요
    복채달구갈께요
    많이 배워가겠슷니다
    감사합니다  

  •   대양1234   2021-12-06 23:30:44
    합이 되었을때 통근이 되면 합화가 되지않아 오행 각각의 역활을 다할수 있고, 통근되지 않으면 합화되어 다른 오행으로 바뀐다. 합이될때 통근이 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해석이 달라지네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많이 배웠습니다.  

  •   여니7986   2021-11-20 10:39:42
    좋은 예시 감사합니다 합과 충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는데 예시로 인해서 조금은 쉽게 이해 할 수 있었습니다 아직 많이 헷갈리지만 차근차근 하나씩 풀이해나간다면 제 사주풀이에 대해 좀 더 가까워지겠네요 오늘 하루도 좋은 하루 되세요~^^  


  •   명리학초보735   2021-05-26 11:10:32
    합이 전부 화가되지 않는 좋은 예시감사합니다! 하나씩 잘 배우고 있어요!  

  •   수처작주   2021-03-22 10:44:32
    합화가 이루어지는 형태와 충의 형태에 대한 유용한 정보와 예시로 또 한번 복습 합니다.
    자꾸자꾸 읽어보고 연습하고 해도 어렵고 잊어버리고 하네요.
    감사드립니다.  

  •   플로릴리   2021-03-07 01:52:14
    합과 충은 매번 봐도 어려운것 같았는데 이렇게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이더2   2021-02-07 19:07:15
    충은 너무 어려워요. 주변의 십신 배치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을 수도 있고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고 하니 참 어렵네요. 향상 좋은 글 감사합니다.  

  •   쑤비   2021-02-01 01:58:08
    복채 달고갑니다! 사이트에서 많이 배우고 가요! 매번 합, 충 글자를 많이 보았는데 어렵기만 하더라구요 감사합니다!  

  •   스타   2020-12-09 12:45:39
    복채 여기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좋은 하루 보내십시요  


  •   한라이   2020-06-04 10:26:19
    합과충이 저는 기본적인거같으면서도 은근헷갈리더라구요..반복적으로보고도보면서 더익혀야겠어요ㅠㅠ이해하기쉽게잘정리해주셔서감사합니다! 많이배우고공부하겠습니다  

  •   나봉본   2020-06-04 07:05:20
    사주가 참 어렵지만 공부할수록 재밌네요.. 좋은글 정말 감사드립니다  

  •   grfnni   2020-05-29 15:37:08
    임오월 자오충이 은근히 두렵네요. 하지만 내려놓고 항상 하루하루 깨어 있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많이 배울 수 있도록 길을 열어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자비사   2020-05-26 06:13:57
    원극 해석 넘 잘보고 있습니다
    월주를 전부 부모궁으로만 생각했는데 육친으로 설명하니
    넘 이해가 잘됩니다 자료 감사합니다  

  •   깔풍   2020-05-25 10:26:37
    좋은 글귀에 감사 드리며, 사해충을 항시 달고 살았는데- 합으로 묶여서 소진시키고 싶습니다. 합이 풀리면 또 충이 발생이 되겠지요. 충이 합은 정말 깊이 있게 공부를 해야할것 같습니다. 이럴땐 이렇게 작용하고 어디를 우선 순위를 둘지 몰랐는데 조금은 알것 같습니다. 오늘 하루도 열공하시고 건강 잘챙기시길 바랍니다.
    이번주부터 한주가 시작되는 월욜입니다. 시작과 마무리까지 충이 발생되지 않도록 매사에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   푸웁   2020-05-24 08:48:44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합,충들어가면서 부터 머리가 지끈지끈...
    어렵네요.  


  •   아카타   2020-05-21 22:36:41
    월주 재성은 합을 할경우는 아내로 보고 합을 하지않은 경운 부친으로 통변한다고 들은거 같은데 확실한건 모르겠어요.
    그리고 년간과 월간이 합이 되어 있는데 행운에 의해 깨질수 있나요? 년월간의 합은 운에서도 깰수 없다고 본거 같은데 궁금하네요
    감사합니다..  

  •   호사   2020-05-21 03:35:20
    합화.충의 형태와해석을 잘보았습니다.
    월주 재성을 부친으로 통변과 아내로 통변을 할수있다는데
    항상 두가지로 해석 하는지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
  
명리학탐구(고급1)
페이지: 1 / 10   

 301.궁의 이해 - 연주, 월주, 일주, 시주
댓글:(52) 열람:4431   2020.05.18


 302.오행통변(1) - 오행의 의무와 역할(목오행, 금오행)
댓글:(30) 열람:2610   2020.05.18


 303.오행통변(2) - 오행의 의무와 역할(화오행, 토오행, 수오행)
댓글:(28) 열람:2291   2020.05.18


 304.합과 충의 의미 분석
댓글:(25) 열람:3509   2020.05.20


 305.격국용신 - 격국의 이해와 용신의 역할
댓글:(41) 열람:4882   2020.05.21


 306.원국분석(1) - 일간의 본성(기본마음) 파악
댓글:(41) 열람:2309   2020.05.23


 307.원국분석(2) - 태어난 계절로 살펴보는 부모덕 판단
댓글:(44) 열람:3905   2020.05.23


 308.원국분석(3) - 격국과 육친에 따른 월간의 영향력
댓글:(26) 열람:2347   2020.05.26


 309.원국분석(4) - 일간의 행동양식과 배우자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지분석
댓글:(33) 열람:3195   2020.05.28


 310.원국분석(5) - 일간의 노년기와 자식복을 나타내는 시주분석
댓글:(39) 열람:2863   2020.05.30



[1]  [2]  [3]  [4]  [5]  



[복채를 내지 않으면 복이 달아납니다]

사주플러스는 사람의 운명을 연구하는 철학 사이트 입니다..
이용하시는 분들은 자신을 위해서라도 복채를 지불하셔야 합니다..
사이트의 홍보나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유용한 글 등
복채론1,   복채론2
사이트 발전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어떤 방법도 좋습니다.
사이트 이용이 도움이 되었다면 자신의 그릇 크기에 따라
자신이 생각한 방법으로 적절한 댓가를 지불하시기 바랍니다.
복수단어 검색은 공백(space)로 구분해 주세요.




공지사항 [손님]

질문답변마당 [손님]


최근 글 [손님]

인기 글 [손님]

사주풀이마당[손님]

궁합풀이마당[손님]

유명인사주풀이[손님]



최근 댓글[손님]

생활의지혜 [손님]

세상사는이야기 [손님]

자유마당 [손님]